본문 바로가기
JJ의 Project

부자가 되는 통찰력을 얻는 비법, 부의 인문학 독서 리뷰 1탄

by 어메이징1000 2020. 4. 22.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시대의 흐름을 읽는 통찰력이 필요합니다.

그 통찰력을 얻기 위해서 대부분의 재테크 책은 가능한 많은 독서(다독)과 신문기사 읽기를 손에 꼽죠.

부의 인문학은 2017년 비트코인의 몰락을 예언했던 저자가 어떤방식으로 인문학을 통해 통찰력을 얻게되었는지 그 경험을 재미있게 설명하는 책입니다.

 

짧은 평가


<내일의 부> 저자 조던 이후로 책을 참 쉽고 재밌게 쓰는 작가는 오랜만이네요.

가장 어려운 주제의 내용을 다양한 예시로 쉽고 간결한 문장으로 작성해 독자들의 이해도를 높혔습니다.

꼭 한번쯤은 읽어봐야 하는 책인것 같고, 이번엔 밑줄그어야 하는 문장들이 많아 여러편에 걸쳐 작성하려 합니다^^

 

 

 

 

 

 

1. 진입장벽이 곧 수입이다 



상가는 넘친다. 진입장벽이 없기 때문이다. 반면 아파트는 청약통장 같은 진입장벽이 있어, 돈이 있다고 누구나 분양받을 수 있는게 아니다. 왜 그럴까?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값이 오르는 것이다.
특히 구분상가는 최악이다. 구분상가는 자기 혼자서 갈아엎을수도 없으며, 전체 상가의 의견을 따라야 한다...

즉, 통제권이 없다.
반면 꼬마빌딩은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독립적인 상가이다. 우리는 구분상가가 아닌 꼬마빌딩같은 독립적인 상가를 보유해야 한다.

- <국부론> 불쾌하고 불명예스러운 직업일수록 수입이 많다... 어느나라나 백정이나 사형집행인은 수입이 많다. 이는 불쾌감과 불명예가 심리적인 장벽역할을 해서 수익을 내기 좋기 때문이다. 

- 보험은 자본주의 게임의 법칙을 가장 잘 활용한 비즈니스이다.  보험업은 지금화폐로 받고 후일 실제가치가 떨어지는 화폐로 지불을 약속하는데, 인플레 국면에서는 가장 유리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한국 종합주가지수를 보면 보험지수는 1980년대 100에서 2018년 12월 16,700을 기록하였다.(종합 주가지수는 2050 기록) * 한국 종합주가지수는 KOSPI다.



# 가짜돈이 아닌 리얼머니를 보유해야 한다.



인플레가 발생하면 부의 이전현상(개인의 재산이 정부로 넘어가게 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인플레가 발생하면 화폐를 보유한 개인의 실질 구매력이 떨어지니 손해를 볼수밖에 없지만, 정부는 명목화폐(부동산이나 주식같은 실제자산은 더 오르게됨)를 기준으로 세금을 매기니 세금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화폐시스템에서는 전세계적으로 부동산부자가 많을수밖에 없고, 이 시스템이 바뀌지 않는 이상 실제 자산은 계속 오를수밖에 없다.

제 1장. 노예의 삶을 선택한 사람들


(1) 왜 진보정권이 집권하면 부동산 가격이 더 오를까?
 정답) 정부지출 증가 → 경기부양+인플레발생 → 자산가격 상승

(2) 전략적 사고없이 무턱대고 열심히 하면 망한다

- <손자병법> 왈, 투자나 사업은 시작하기도 전에 이미 승패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먼저 승리한다음에 싸워라.
 - 마이클포터의 전략적 사고란? 토끼를 경주에서 이기기 위해 거북이가 육상시합이 아닌 수영시합을 제안하는 것이다.
전략적 사고를 끌어내기 위해선,
"내가 남보다 잘하는게 무엇인지?"
"네가 남보다 못하는 약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세상이 어떻게 변하는지?"

 

 

 

향후 세상의 변화속에서 네가 어떤 기회를 가질 수 있는지 생각해보고, 

어떤 위협이 있는지 고려해서, 이러한 상황에서 너의 장점을 살리고 너의 약점을 보완하여 

기회를 잡고 성공할 수 있는 가장 유리한 곳에 네 자신을 전략적으로 포지셔닝해라! 

 

※ 마이클포터의 5가지 경쟁요소

 

 

 

출처: 조선일보

 


 1. 신규진입위험 - 신규 진입자는 기존 진입자의 수익과 생존을 위협한다
 2. 라이벌 경쟁간의 기업 - 경쟁이 적을수록(독과점) 돈을 벌 수 있다 (부동산이 돈을 버는 이유.. 땅은 오직 하나!)
 3. 구매자의 교섭력 - 특별한 기술을 가지고 나만이 만들 수 있는 제품을 창출해라.
 4. 공급자의 교섭력 - 원재료가 희소하면 원료공급자에게 비싼값을 주고서라도 물건을 살수밖에 없다.. 
5. 상품의 대체위협 - 대체할 상품이 많을수록 내 상품의 경쟁력은 낮아진다


#도시를 파괴하는 것은 폭격이 아니라 임대료 정책이다.
 - 오스트리아의 경제정책과 뉴욕의 슬럼화 사건

 

경영학에서 배웠던 마이클 포터의 이론을 이렇게 활용하니 참 흥미롭네요:)

워낙 금과 옥조같은 문구들이 많아 여러편에 나눠서 작성할게요!

댓글